Family Accipitridae 수리과 (19종)
Pandion
haliaetus 물수리 common name "Osprey"
WV/r L♂58cm ♀60cm. W147-169cm 몸은 어두운 갈색의 윗면과 흰색의 아랫면이 대조를 이룬다. 머리는 흰색이며, 검은 눈선은 목 뒤로 연결된다. 날개는 폭이 좁고 길며, 꼬리는 짧다. 가슴에는 갈색의 띠가 있으나 드물게는 없는 경우도 있다. 물 위에서 정지비행을 하면서 먹이를 찾으며, 물 속으로 뛰어들어 날카로운 발톱으로 물고기를 움켜잡는다. ▲소리: 연속적으로 '쿄쿄쿄쿄..."하고 높아지다가 낮아진다. ◎ 서식지: 해안, 하구, 하천, 저수지, 양어장 (이우신외, 2000).
image A-G. 최순규 (2005. 10. 23 강릉시 남대천) H. 최순규 (2003. 10. 26 강릉시 남대천) I. 최순규 (2003. 10. 18 강릉시 남대천) G. 최순규 (2003. 10. 19 강릉시 남대천) J-L. 최순규 (2004. 10. 19 강릉시 남대천) |
Pernis
ptilorhynchus 벌매 common name "Oriental Honey Buzzard"
PM/uc L ♂57cm ♀60.5cm. W 121-135cm 깃털색이나 무늬에 매우 다양한 변이가 있다. 몸의 웃면은 주로 갈색 또는 어두운 갈색이고, 멱과 목에는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다. 몸의 아랫면은 흰색에서 어두운 갈색까지 다양하며, 다 자란 새의 꼬리에는 검은색의 굵은 띠가 있다. 이동중에는 보통 무리를 이룬다. 머리가 작고 목이 길어 갈 때 다른종에 비해 길 게 보인다. ◎ 서식지: 평지, 개활지, 해안 (이우신외, 2000).
image A-C. 최순규 (2007. 5. 8 문산시) D. 최순규 (2005. 7. 29 경기도 양평) |
Milvus
migrans 솔개 common name "Black Kite"
WV/uc Res/r L♂58.5cm♀68.2cm. W157-162cm 독특한 M자형 꼬리와 날개 아랫면의 흰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꼬리를 펼칠 경우에는 꼬리 끝이 직선처럼 보일 수도 있다. 어두운 갈색의 몸에 밝은 갈색의 세로줄무늬가 많다. 비번식기에는 무리를 이룬다. ▲미성숙새: 줄무늬의 색이 더 연하고 크며, 날개덮깃의 가장자리도 더 밝고 뚜렷하다. ▲소리: '삐잇-효로로로' 하고 독특하게 운다. ◎ 서식지: 해안, 하구, 하천등과 주변의 개활지 농경지 *실태: 흔하지 않은 겨울철새이며 최근 경남 거제군의 섬에서 번식이 확인되었고 부산낙동강 하구에서는 연중 관찰이 가능하다. (이우신외, 2000).
image A-D. 최순규 (2005. 2. 25 김해시) E-I. 최순규 (2004. 12. 26 낙동강 하구) J. 최순규 (2005. 2. 25 김해시) |
Haliaeetus
pelagicus 참수리 common name "Steller's Sea Eagle"
WV/r L♂88cm ♀102cm. W221-244cm 긴 쐐기형의 흰꼬리를 가진 대형 수리. 흰색의 작은 날개덮깃과 노란색의 큰 부리가 뚜렷하며, 이마가 흰색이다. 날 때 날개 뒤쪽이 둥글게 보이며 바깥쪽으로 갈수록 더 넓게 보인다. 어미새의 깃털로 바뀌기 까지 5년 또는 그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 ▲미성숙새: 몸은 전체적으로 검게 보이며, 꼬리는 흰색이지만 가장자리는 검은색이다. 첫째날개깃과 날개덮깃은 부분적으로 흰색을 띤다. 다른 수리류의 어린새와 달리 부리가 크고 노란색이다. ▲유사종: 흰꼬리수리는 더 작으며 꼬리가 짧고 둥글다. 부리도 작고, 날 때 날개의 뒷부분은 직선을 이룬다. ◎ 서식지: 해안, 하구, 하천, 저수지, (이우신외, 2000). *실태: 천연기념물 제 323호. 드문 겨울 철새로 낙동강, 주남저수지, 임진감, 천수만, 해남에서 기록되었다. 주로 어린새가 도래하며 어미새는 관찰하기 어렵다
image A. 최순규 (2003. 01. 01 양양 남대천) B,C,F,G. 최순규 (2006. 2. 26 강릉시 남대천 하구) D. 최순규 (2003. 01. 01 양양 남대천) E. 최순규 (2003. 01. 03 양양 남대천:성조) H. 최순규 (2004. 01. 03 화진포:성조) |
Haliaeetus
albicilla 흰꼬리수리 common name "White-tailed Sea Eagle"
WV/sc Res/r L ♂84cm♀94cm. W199-228cm 부리는 크고 노란색. 날개는 폭이 넓으며, 흰색의 꼬리는 짧게 보인다. 머리와 목은 몸에 비해 밝은 갈색이다. 날 때 노란색의 부리와 발이 보이며, 날개의 앞쪽과 뒤쪽이 직선이며 평행하게 보인다. 어미새의 깃털로 바뀔 때 까지 5년 또는 그 이상이 걸린다. ▲미성숙새: 부리는 검은색. 몸 전체가 어두운 검은 갈색이지만 등과 날개 덮깃은 밝은 갈색에 깃 가장자리가 흑갈색이다. 꼬리는 흰색이지만 깃털 가장자리가 흑갈색이다. ▲유사종: 참수리 ◎ 서식지: 해안, 하구, 하천, 저수지 *실태: 천연기념물 제243호. 참수리나 검독수리보다 흔한 편이며, 전국의 하구, 강, 저수지에 도래한다. 주로 어린새가 도래하며 어미새는 관찰하기 어렵다.(이우신외, 2000).
image A. 최순규 (2005. 11. 11 영광 법성포) B. 최순규 (2007. 2. 25 강릉시 남대천) D. 최순규 (2001. 11. 23 강릉시 남대천 하구) E. 최순규 (2003. 1. 1 강원 양양 남대천) F. 최순규 (2003. 2. 14 강릉시 경포호:아성조) G. 최순규 (2003. 2. 16 강릉시 남대천) H. 최순규 (2003. 12. 11 양양 남대천) I. 최순규 (2004. 1. 30 강릉 연곡면:성조) |
Aquila
chrysaetos 검독수리 common name "Golden Eagle"
Res/r Wv/r L ♂81.5cm ♀89cm. W 167-213cm 암컷이 더 크고 암수 같은 색이다. 머리꼭대기에서 뒷목에 이르는 부분과 날개쭉지 윗면은 짙은 황갈색이나 기타 부위는 모두 짙은 흑갈색이다. 어린새는 날개 아래에 커다란 흰색 반점이 있으며, 꼬리는 흰색이고 끝이 검은색이다. 발은 노란색이다. ▲ 분포 : 저지대에서 고산 산악지역에 폭넓게 서식. 전세계 온대에서 툰드라대까지 폭넓게 서식, 아한대와 온대지역에서 월동. ▲ 번식 : 암벽 위나 교목 위에 나뭇가지와 잎 등을 이용하여 큰 둥지를 지으며, 매년 같은 둥지 사용한다. ▲ 울음 : 대개 조용. < 삐이요, 삐욕 뿃- > ▲ 먹이 : 포유류, 조류, 양서류, 파충류 등 아침저녁으로 주로 채식한다. ▲유사종 : 항라머리검독수리허리에 흰 무늬가 있으며, 어린새는 날개윗면에 옅은 황갈색 세로점무늬가 많다. , 흰죽지수리는 뒷머리와 뒷목이 황갈색이나 몸 전체는 흑갈색이다. *실태 :천연기념물 제243호
image A-B. 최순규 (2008. 3. 1 충북 미호천) D. 최순규 (2005. 7. 29 경기도 양평) |
Aegypius monachus 독수리 common name "Cinereous Vulture(Black Vulture)"
WV/sc L100-112cm W250-295cm 몸 전체가 검은 갈색으로 야외에서 검게 보인다. 날 때 긴 날개의 끝은 갈라지고 위로 휘어져 있다. 날개는 매우 넓고 길지만 꼬리는 짧고, 날 때 머리는 작게 보인다. 머리는 피부가 드러나 회갈색으로 보인다. 등과 날개덮깃은 갈색으로 어신새보다 뚜렷하게 밝게 보인다. 작은 무리를 이루리도 하며, 먹이가 있는 곳에는 다수가 몰려든다. 목집이 둔하고 움직이미 느린 편이며, 까마귀나 까치 등에게 쫓기기도 한다. ▲미성숙새: 몸 전체가 균일한 흑갈색의 짧은 깃털이 밀생해 있어 전체적으로 검게 보인다. 부리는 검은색이며, 기부는 살색이다. ◎ 서식지: 하천, 하구, 개활지, 농경지 *실태: 천연기념물 제 343호. 겨울에 주로 철원, 연천, 파주의 비무장 지대에 도래하지만 드물게 경남 낙동강, 주남저수지, 전남 순천만, 해남 등지에도 도래한다. 양계장에서 버린 닭의 시체를 먹기 위해 100개체 이상의 대집단이 모이기도 한다. (이우신외, 2000).
image A . 최순규 (2006. 12. 13 경기 안성) B-F. 최순규 (2005. 1. 30 강원도 철원) G-I. 최순규 (2005. 11. 21 경기도 문산 ; wing-tag 27 몽고에서 부착 ) |
Aquila
clanga 항라머리검독수리 common name "Great Spotted Eagle"
WV/r L♂67.5cm ♀70cm. W158-182cm 흰색이 허리를 제외한 몸 전체가 흑갈색이며, 야외에서는 검게 보인다. 날 때 첫째날개깃 기부에 약간의 흰색이 보인다. 날개는 넓지만 꼬리는 짧고 둥글다. ▲미성숙새: 날개 윗면과 어깨깃에 황갈색의 큰 반점이 산재해 있이만 깃털의 마모가 심하거나 털갈이를 하면 반점의 수가 줄어든다. 둘째날개깃 끝은 흰 선으로 보인다. 날 때 흰색의 허리가 뚜렷하게 보인다. 다리깃에도 노란색을 띤 갈색의 점이 있다. 부리는 검은색이며, 기부는 노란색이다. ▲유사종: 초원수리, 검독수리, 흰죽지수리의 어미새는 머리가 더 밝은 색이며, 꼬리가 길다, 어린새는 날개 윗면의 반점무늬가 다르다. ◎ 서식지: 하천, 저수지, 농경지, 개활지 *실태: 희귀한 겨울철새로 경남 김해, 낙동강 하구, 전남 여수, 해남, 충남 천수만, 경기 포천 등에서 기록되었다. (이우신외, 2000).
image A-G. 최순규 (2005. 1. 1 서산 천수만) |
Accipiter
gentilis 참매 common name "Goshawk"
WV/uc L♂50cm ♀56cm. W106-131cm 다른 새매류에 비해 몸이 크며, 흰 눈썹선도 굵고 뚜렷하다. 암수는 유사하다. 몸 윗면은 어두운 청회색이고, 아랫면에는 세밀한 가로줄무늬가 있다. ▲어린새: 눈썹선은 뚜렷하지 않고 윗면은 갈색이며, 아랫면에는 굵은 세로줄이 있다. ▲아종: 흰참매(A.g.albidus)는 흰색 바탕에 밝은 갈색의 줄무늬가 있으며, 길잃은 새이다. ▲유사종: 새매 ◎ 서식지: 숲, 농경지, 하천. (이우신외, 2000). *실태: 천연기념물 제 323호. 최근 강원도 계방산에서 번식이 확인되었지만 대부분 겨울에 관찰된다.
image A,B. 최순규 (2010. 12. 27. 시흥) C. 최순규 (2010. 6. 20 충주) D-E. 최순규 (2010. 12. 4 강릉) F. 최순규(2008.12.31 청주 어린새) G. 최순규 (2009. 2. 12 봉화) H. 최순규 (2007. 10. 30 청주)
|
Accipiter
nisus 새매 common name "Eurasian Sparrowhawk"
WV/uc L♂32cm ♀39cm. W61-79cm 참매와 유사하나 몸이 작고, 눈썹선이 가늘다. 눈은 노란색. ▲수컷: 배에 주황색의 가로줄무늬가 있다. ▲암컷: 가슴과 배에 갈색의 줄무늬가 있다. ▲어린새: 몸 윗면이 어두운 갈색이며, 가슴과 배의 줄무늬가 어미에 비해 굵다. ▲유사종: 조롱이는 노란색 눈테가 있고 눈썹선이 없다. 참개는 크고, 뺨과 귀깃의 회색 부분이 더 넓다. 어린 참매의 배에는 세로줄이 있다. ◎ 서식지: 숲, 개활지, 농경지, 하천. (이우신외, 2000). *실태: 천연기념물 제 323호
image A. 최순규 (2009. 12. 04 평택:수컷) B. 최순규 (2011. 03. 20 충주:수컷) C. 최순규 (2010. 12. 4 충주:암컷) D. 최순규 (2005. 10. 27 경남 양산:어린새) E. 최순규 (2006.11.15 충북 금왕:수컷) F. 최순규 (2010. 3. 20 충주:어린새) G,H. 최순규 (2008. 2. 27 경남 김해) I,J. 최순규 (2007. 1. 9 충남 당진)
|
Accipiter
gularis 조롱이 common name "Japanese Lesser Sparrowhawk"
Res/uc L ♂27cm ♀30cm. W 51-63cm 항상 노란색 눈테가 있으며, 납막은 작고 노란색이다. 날개 아랫면에 가로줄무늬가 있다. ▲수컷: 배에는 주황색의 약한 가로줄무늬가 있다. 눈은 붉은색. ▲암컷: 가슴과 배에 갈색의 가로줄이 있다. 눈은 노란색. ▲어린새: 날 때 아랫면의 날개 덮깃에 가는 줄무늬가 여러개 있다. 뚜렷하지 않은 눈선이 있으며 멱에 세로줄이 있다. 둘째 날개깃 아랫면의 줄무늬는 4개 ▲유사종: 붉은배새매. 새매 ◎ 서식지: 평지와 야산의 숲, 주변의 개활지 (이우신외, 2000).
image A. 최순규 (2004. 10. 05 김해시) image B-D. 최순규 (2004. 12. 12 강원도 철원) |
Accipiter
soloensis 붉은배새매 common name "Chinese Sparrowhawk"
SV/c L ♂30cm ♀33cm. 몸윗면은 푸른색을 띤 회색. 가슴은 흐린 주황색이며 아랫배는 흰색이다. 날개 밑부분은 옅은 색으로 무늬가 없으며, 끝은 검다. 납막은 주황색. ▲수컷: 눈은 어두운 붉은색이며 먼거리에서는 검게 보인다. 가슴과 배에는 흐린 분홍색새을 띤 갈색의 무늬가 있지만 암컷보다 밝게 보인다. ▲암컷: 눈은 노란색 ▲어린새: 눈은 노란색. 가슴과 배에는 밤색의 굵은 세로줄이 있고 옆구리에 약간의 가로줄이 있다. 날 때 아랫면의 날개 덮깃에 줄무늬가 없다. 둘째 날개깃의 아랫면의 줄무늬는 3개 ▲유사종: 조롱이는 노란색 눈테가 있으며 날 때 아랫면에 날개 덮깃에 가는 줄무늬가 있다. 잿빛개구리매의 수컷은 허리가 흰색이다. ◎ 서식지: 평지와 야산의 숲, 숲주변의 논, 개활지 *실태: 천연기념물 제323호. 전국에 흔하게 번식한다. (이우신외, 2000).
image A. 최순규 (2002. 07. 24 강릉시 유천동:수컷) B. 최순규 (2007. 5. 31 전남 담양:수컷) C. 최순규 (2006. 5. 25 경남 사천:수컷) D. 최순규 (2006. 5. 25 경남 사천:암컷) E. 최순규 (2007. 6. 16 경기 안성:암컷) F. 최순규 (2008. 7. 1 조치원:암컷) |
Buteo lagopus
털발말똥가리 common name "Rough-legged Buzzard"
WV/sc L ♂55.5cm ♀58.5cm. W 129-143cm ▲ 암컷이 더 크다. 머리와 가슴은 흰색에 가까운 회색으로 갈색 세로줄무늬가 있다. 배와 등 허리는 어두운 회갈색, 날개아래는 흰색에 가깝다. 꼬리는 흰색으로 끝에 얿은 흑갈색 띠가 있어 말똥가리와 구분된다. 발가락 바로위까지 털로 덮여있다. ▲분포 : 농경지, 하천의 초원, 구릉지 등 트인 곳에 서식. 암석, 구릉 위에 앉아 쉬면서 먹이를 기다린다. 전세계 북반구에 서식, 북극권에서 번식, 중위도권에서 월동. ▲ 번식 : 암벽 위, 나무 위에 둥지를짓는다. ▲울음 : 날면서 < 삐요오 > 말똥가리보다 크고 낮게 운다. ▲먹이 : 작은 포유동물, 조류, 설치류(쥐) ▲ 유사종 : 말똥가리-더 어둡고, 꼬리는 미색으로 가로띠가 여러줄 있다.
image A. 최순규 (2005. 01. 01 서산시 천수만) B. 최순규 (2010. 12. 05 순천만:성조) C-E. 최순규 (2010. 01. 23 문막:어린새) F. 최순규 (2010. 03. 27 시흥시:성조) |
Buteo hemilasius 큰말똥가리 common name "Upland Buzzard"
WV/c L ♂61cm ♀72cm. W158cm 암수 같은색, 대체로 옅은 색이며, 암수 모두 등은 담색에서 암색까지 다양하다. 날 때 날개 아래 끝부분이 흰색이며 발 중간까지 털로 덮여있다. 말똥가리보다 크며 유조는 말똥가리 유조와 유사하다. ◎ 분포 : 개활지, 논 등에 서식, 아시아 온대지역의 외몽고, 중국 동북지방 일대에 분포. 중국 동부 및 한국, 일본 남부지방 등에서 월동. ◎ 번식 : 절벽이나 바위산의 나무 가지위에 나뭇가지 등으로 접시모양의 둥지를 짓는다. ▲ 울음 : < 삐이요 > ▲ 먹이 : 작은 포유류, 조류 등 ▲ 유사종 : 말똥가리-작고 날개 아랫면의 검은 띠가 앞부분 일부만 있다. 털발말똥가리-발가락 앞까지 털로 덮여있으며, 꼬리는 희며, 끝만 검다. 몸의 윗면과 아랫면의 대비가 뚜렷하다.
image A-D. 최순규 (2009. 12. 30 당진) E-G. 최순규 (2006. 01. 31 인천신 청라지구) H. 최순규 (2006. 1. 4 서산 천수만) |
Buteo
hemilasius 말똥가리 common name "Common Buzzard"
WV/c L ♂52cm♀56cm. W122-137cm 날 때 날개 아랫면의 암갈색 점이 특징적으로 보인다. 개체에 따라 깃털변이가 심하지만, 일반적으로 아랫면은 전체적으로 밝은 갈색으로 보이며, 배와 옆구리, 날개 끝은 어두운 갈색이다. 몸의 윗면은 균일한 어두운 갈색. 어미새의 눈은 어두운 갈색이지만, 어린새는 노란색을 띤 갈색이다. 양쪽 날개를 약간 들어 각이 완만한 V자형으로 날며, 정지비행도 한다. ▲유사종: 큰말똥가리는 날 때 첫째날개깃이 밝게 보이며, 꼬리에 가는 줄이 여러 개 있다. 털발말똥가리는 몸이 전체적으로 흰색과 밤색이며, 꼬리는 흰색이지만 꼬리 끝에 밤색의 굵은 띠가 있다. ◎ 서식지: 농경지, 습지, 평지,초원,하천,숲 .(이우신외, 2000).
image A. 최순규 (2006.01.17 경기도 문산) B. 최순규 (2005.12.20. 충북 보은) C,I,J,K 최순규 (2006.02.25 강원 강촌) D. 최순규 (2003. 12. 12 강원도 고성) E. 최순규(2002. 11. 17 강릉시 사천면) F.G 최순규(2002. 11. 24 강원도 철원) H. 최순규 2008.2.28 김해) L. 최순규 (2004. 12. 12 강원 철원) M. 최순규 (2005. 1. 1 서산 천수만) |
Butastur indicus
왕새매 common name "Grey-faced Buzzard eagle"
PM/uc, SV/r L ♂47cm ♀51cm. W102-115cm 멱에서 목까지 세로의 검은줄이 턱징. 몸 윗면은 갈색을 띠며 아랫면은 밝다. 가슴과 배의 무늬는 어미는 가로무늬, 새끼는 세로무늬가 있으며, 흰 눈썹선이 뚜렷하다. 참매보다 작다. 번식기에 세력권의 상공에서 급강하와 급상승을 되풀이하는 구애행동을 한다. ◎ 분포 : 야산, 바닷가 개활지 등에서 단독또는 암수 함께 생활. 중국 동북지방, 우리나라, 일본 등에서 범식, 중국 남부에서 보르네오, 말레이반도 등에서 월동. 이동기에 매우 큰 무리를 형성한다. ▲ 번식 : 숲속에 둥지를 틀며, 9m정도의 나무 위에 나뭇가지로 접시모양의 둥지를 짓는다. ▲ 울음 : < 삣-이-, 삐이-, 삐-이- > ▲ 먹이 : 설치류(쥐), 작은 조류, 파충류(뱀, 도마뱀), 양서류(개구리) 유사종 : 조롱이, 새매, 말똥가리
image A-C. 최순규 (2006. 04. 03 강원도 문막) D-G. 최순규 (2006. 4. 30 보령 외연도) |
Circus
cyaneus 잿빛개구리매 common name "Hen Harrier"
WV/c L ♂45cm ♀51cm. W99-123cm 선명한 흰색의 허리가 특징이며, 양 날개를 V자형으로 위로 올린 채 느리게 날면서 먹이를 찾는다. 눈은 노란색. ▲ 수컷: 날개 끝은 검은색 몸 위면은 밝은 회색이지만 허리는 흰색이다. 몸 아랫면은 흰색. ▲암컷: 등과 날개는 어두운 갈색. 다른 개구리매류에 비해 눈썹선이 뚜렷한 편이며, 얼굴 주변의 밝은 부분이 얼굴 모양의 경계를 만든다. 날개덮깃의 중앙부는 주변보다 밝게 보인다. 갈색의 꼬리에는 어두운 갈색의 줄이 3-5개있다. ▲ 어린새: 암컷과 유사하나 몸 색이 황갈색을 많이 띻ㄴ다. 눈의 색은 갈색이다. ▲ 유사종: 알락개구리매. ◎ 서식지: 갈대밭, 습초지, 농경지 *실태: 천연기념물 제323호 개구리매 중 가장 흔한 편이며 전국의 습지 주변이나 농경지에서 관찰된다.
image A,H. 최순규 (2005. 1. 1 서산 천수만: 수컷) B. 최순규 (2006. 1. 8 전북 전주) C,D,I. 최순규 (2007. 3. 28 충남 당진) G. 최순규 (2005. 10. 31 충남 당진) E,F. 최순규 (2006. 1. 23 충남 당진) |
|
Circus
aerugiosus 개구리매 common name "Eastern Marsh Harrier"
WV/uc L ♂48cm ♀58cm. W113-137cm 비교적 대형의 개구리매로 암컷이 더 크며 부리는 청회색, 다리 황색이다. ▲ 수컷: 회색형과 검은색의 2색형이 있다. 짙은 갈색에 얼룩 또는 잿빛을 띤 어두운색이며 여름에 몸 윗면에 검은색이 많아진다. ▲ 암컷과 유조는 전반적으로 갈색을 띠지만 목 위로는 엷은 갈색이다. 휴식을 취할 때는 땅 위나 풀위에 앉으며 나무위에 앉는 경우는 없다. ▲ 분포 : 유럽, 아무르, 우수리, 중국, 한국, 일본 등에 분포. 해안과 내륙 습지, 농경지, 초지 등에 서식. ▲ 번식 : 습지 또는 소택지의 갈대나 수초 위. 갈대줄기 등으로 접시모양의 둥지를 지으며, 암컷이 만든다. ▲ 울음 : 번식기 구애비행시 < 키이요, 꽈꽈꽈꽈- > ▲ 먹이 : 작은 포유동물, 설치류, 조류 ▲ 유사종 : 알락개구리매 암컷, 잿빛개구리매 *실태: 천연기념물 제323호
image A,B. 최순규 (2007. 10. 04 서산 천수만) |
|
Circus melanoleucus 알락개구리매 common name "Pied Harrier"
Pm/r, SV/r L ♂42.5cm ♀45.5cm. W104-115cm 허리는 흰색이지만 잿빛개구리매 처럼 뚜렷하지 않다. ▲수컷: 검은색과 희색, 회색의 대조로 혼동되지 않는다. ▲암컷: 잿빛개구리매 암컷과 유사하나 날개덮깃과 날개깃, 꼬리 등에 회색빛이 강하다. ▲어린새: 머리와 아랫면이 적갈색이다. 수컷은 날개가 길어 갈매기 나는 모습과 비슷하나 날 때는 머리와 날개 끝이 검고 까치와 비슷한 무늬를 가졌으며, 풀밭 위를 조용히 미끄러지듯 나는 모습이 특징. 날개와 배 흰색으로 흰부분이 더 많다. 암컷은 전체적으로 황갈색, 갈색의 얼룩. 몸 아랫면은 흰색. 어린새는 암컷과 비슷하고, 배 적갈색에 어둔 갈색의 줄무늬가 있다. ▲분포 : 아무르, 우수리, 몽고, 만주, 동남아시아 지역에 분포. 하천, 산림 부근의 건조한 풀밭, 및 들판에 서식. ▲ 번식 : 풀밭 위에 풀줄기로 오목한 둥지를 짓는다.▲ 울음 : 번식기 중 < 쿄오- > 기타 시기는 잘 울지 않는다.▲ 먹이 : 작은 조류, 개구리, 물고기 ▲ 유사종 : 잿빛개구리매-암컷 ▲ 참고 : 봄 가을에 지나가는 나그네새. 드문 여름철새 *실태: 천연기념물 제323호 (박종길외, 2008)
image A,B. 최순규 (2010. 5. 1 신진도) |